KOR

커 뮤 니 티

센서위드유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추어 나갑니다.

커뮤니티뉴스

감기, 독감, 코로나19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센서위드유
작성일 20-02-17 17:06

본문

감기, 독감 그리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원인의 코로나 19 증상이 비슷하여 혼돈되는 부분이 있죠.
요즘에는 감기만 걸려도 가슴이 덜컹 내려앉는다는 사람들이 많아 졌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이 3가지 차이를 정리해 봅니다.

많은 분들은 이미 알고 있을거에요.
감기와 독감은 하도 자주 앓는 것이라 건강한 사람에게는 병도 아닐정도지만 그렇다고 그냥 두면 큰 병으로 가는 지름길이죠.


감기
956c0c72c243fa101965cce708725067_1646035403_3125.jpg

감기의 특징은 "서서히"입니다.

감기는 계절과 때와 상관없이 일년 내내 우리 곁에서 괴롭히는 흔한 병으로 콧물, 기침, 약간의 열, 살짝 아픈듯한 두통이 동반하는 증상이 있습니다.
감기에는 약도 없다고 하잖아요. 사실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수백의 바이러스 중에서 어떤 바이러스가 원인인지 알수 없거든요.

그래서 감기에 걸리면 증상에 따른 치료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콧물이 나오면 콧물 멈추는 약으로 목이 아프면 아품을 완화시키는 약으로 기침을 하면 기침을 멈추게 하는 치료제를 사용하는 일종의 맞춤 치료를 해야 하죠.

그런데 가벼운 감기는 컨디션 조절만 잘해도 금방 좋아지고 며칠 버티면 저절로 괜찮아질 때가 많은 병이며 독감에 비하면 합병증이 거의 없는 병입니다.


독감
956c0c72c243fa101965cce708725067_1646035449_6926.jpg

독감의 특징은 "갑자기"입니다.

독감에 걸리면 감기와는 차원이 다른 엄청난 아픔과 고통 힘듬이 나타납니다.
만사가 귀찮고 힘들어 힘도 없고 갑자기 높은 열이 나고 몸살 기운과 춥고 떨리고 심하면 정신까지 가물가물하죠.

독감은 감기와 달리 대체로 세가지 바이러스 중 하나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인플루엔자 A, B, C 이 3가지 중 하나로 인한 증상입니다.
그러나 이미 독감에 걸렸다면 그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는 약물이 없기 때문에 감기와 마찬가지로 증상 치료를 하는 편인데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합니다.

독감에 잘 걸리는 시기는 딱 지금 때죠. 가을과 겨울인데 1~5일 정도 잠복기를 거쳐 심한 발열, 근육통, 오한, 피로감, 식욕부진 등 전신이 마구 아픕니다.

또 독감을 방치하면 기관지염, 폐렴이나 천식, 뇌막염 등 합병증이 이어질 수 있고 노약자들은 더욱 위험에 놓이게 됩니다.
때문에 유행하는 시기 약 1개월 전쯤에 독감주사를 맞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이와 65세 이상은 무료로 백신을 맞을 수 있고요.

아무튼 징후가 매우 좋지 않으니까 감기 증상과 혼돈하지 마시고 독감일 경우 빨리 병원을 찾아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건강관리에 좋습니다.
독감에 걸리면 흔히 타미플루를 복용하게 되는데 사람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치의의 처방을 잘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기승을 부리는 코로나 19 신종 바이러스
956c0c72c243fa101965cce708725067_1646035498_5457.jpg

작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 시작하여 현재 30여개 국가로 확산되어 있는 신종 질병입니다.
몇 개월 되지 않았기 때문에 딱히 뭐라고 정리할 수 없는 질병입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 공기로는 전염된 사례는 없다.
- 침, 재치기 등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악수 등 사람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한다.
- 기침을 할 때 마스크가 없다면 옷 소매로 가리고 해야한다.
- 손씻기를 해야 한다


<개인적 강조>
※ 핸드폰을 깨끗이 관리하고 사용하자!


이정도로 정리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개인 위생관리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공기로 전염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보면 마스크 착용도 중요하지만 보다 손을 깨끗이 관리하는 측면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특히 핸드폰을 좀 더 청결하게 관리해야 할 것 같아요.

우리 소지품중에서 가장 더럽고 지저분한 것이라잖아요.

언제나 손을 사용하여 화면을 다루기 때문에 청결하지 않은 손으로 만지고 그것으로 얼굴이나 입가에 가까이 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손과 동시에 스마트폰도 깨끗하게 소독하면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게시물은 센서위드유님에 의해 2022-02-28 17:06:16 센서위드유에서 이동 됨]